PC · IT · 과학

RSS의 사전적 정의

o자세o = 2008. 9. 21. 15:57

 

[출처: 네이버 지식iN 중에서 (필자 미상)]  

 RSS는 컨텐츠 배급과 수집에 관한 표준포맷입니다.

 

RSS의 사전적 의미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매우 간단한 배급) 또는

Rich Site Summary (풍부한 사이트 요약)의 머리글자이며, XML기반의 표준 통신 포맷입니다.

Wikipedia는 RSS를 하나의 "전송규약(protocol)"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사실 RSS는 http 또는 FTP와 같은 하나의 전송규약에 더 가깝습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웹주소를 보면 "http://www.../xxx.htm"으로 구성됩니다.

이를 풀이하면 http라는 전송방식으로 html파일을 보낸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때 http에 대응하는 것이 RSS이며 html에 대응하는 것이 xml입니다.

즉, RSS는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이며 xml은 그 데이터의 구현방식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이러한 구현방식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요약하고, 상호 공유하고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든 표준입니다.

RSS로 대표되는 컨텐츠 신디케이션 포맷을 통해 컨텐츠(또는 feed)를 전송 할 수 있으며, 컨텐츠 자체와 메타데이타로 구성되는 각각의 feed에는 헤드라인 내용만 있을 수도 있고, 스토리에 대한 링크만 있을 수도 있으며, 사이트의 전체 컨텐츠가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터넷 이용자는 정보에 접근하기 서핑을 하다가 일반적으로 어느 사이트가 맘에 들 경우나 사이트 서핑을 통해 정보를 발견 경우 이를 북마크에 저장을 합니다. 북마크에 저장을 하는 이유는 나중에 와서 정보나 컨텐츠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죠. 그래서 북마크를 하고 나중에 시간이 될때 그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이구요.

 

이러한 방식은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는 해당 사이트가 업데이트가 되었는지, 새글이 올라왔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RSS 를 이용하면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RSS Reader (=Aggregator) 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이트 업데이트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RSS는 XML 기반의 새로운 표준입니다.

 

RSS를 이해를 돕기 위해서 그 기반인 XML 을 잠시 언급하겠습니다.

XML이란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머릿글자로 지금 웹사이트를 구성해온 HTML을 개선한 차세대 인터넷 언어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공통언어입니다. HTML이 데이터베이스처럼 구조화된 데이터를 갖을 수 없는 반면, XML은 사용자가 정보화된 데이터를 조작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HTML이 웹브라우저를 통해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언어라면 XML은 보여주는 것과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를 사용하고 싶은 형태로 이용,가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XML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이용하고 인식되어질 수 있도록 표준화된 태그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상거래, 온라인 뱅킹, 푸시기술, 검색엔진, 제어시스템, 에이전트 등과 같은 넓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HTML

  XML

  사용자 정의 태그 사용

  불가능, 제한적

  가능

  문서의 재사용

  불가능

  가능

  응용분야

  단순한 구조의 문서 및 소량의

 홈페이지 작업

  방대한 내용과 구조를 요하는

  기술적인 문서

  문서작성

  간단하고 용이함

  논리구조 작성의 어려움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고,

  문서구조에 대한 검색이 가능

  문서검색

  효과적 검색 어려움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고,

  문서구조에 대한 검색이 가능

 

-. RSS서비스의 장점

 

RSS의 장점은 아래의 6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1) 선택적 구독 - 사용자가 원하는 topic과 정확히 일치하는 channel 선택
2) 빠른 구독 - 동시에 다양한 channel 소스 접근
3) History 관리 - 다양한 channel의 과거 기록들 보관이 가능하며
4) 자동화된 컨텐츠 연동이 용이 - syndication / aggregation
5) 컨텐츠 재사용성 - 구조화된 XML 데이타로 손쉬운 변환 및 처리가 가능
6)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 - 1:1에서 1:N으로 동시 접속

 

-. RSS 주요 용도


현재 주요 용도로는 웹사이트에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들을 쉽게 배포/구독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규칙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에서 새로운 정보들을 RSS라는 규칙에 따라 제공하면 이용자는 RSS를 읽을 수 있는 브라우저나 리더를 통해 그 내용을 받아올 수 있습니다.


RSS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정보 제공자 측에서 본다면 웹페이지에 RSS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손쉽게 자신의 웹페이지의 최신정보를 배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은 방문을 유도할수 있을것이며 정보구독자 입장에서 보면 일일히 최신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터넷을 헤매지 않고도 아주 간단히 새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RSS문서를 제공하는 곳과 이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 (요약) 블로그와 RSS

RSS란 한번 등록하고 나면 그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업데이트된 내용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장성 생성 언어(xml)로 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RSS 피드란 블로그를 구성하는 RSS의 개별 문서를 말합니다.


RSS란, 업데이트 되는 웹사이트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술 표준으로, 블로그의 RSS주소를 RSS구독기에 등록하면 해당 블로그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업데이트 여부 및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RSS공개를 허용하는 것은 RSS구독기가 이 블로그의 포스트를 수집하도록 허용하는 것입니다. RSS공개를 허용했던 글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경우, 이미 RSS구독기에 전송된 내용은 변경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