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빅스 큐브 ■ Rubik's Cube 에르노 루빅 (헝가리 부다페스트 응용미술대학 건축학과 교수) 학생들에게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부분들로 이뤄진 하나의 전체라는 기하학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교육보조재의 하나로 큐브를 구상... "단순한 기하학적 구조 속에 담긴 복잡한 이면에 있다, 우주의 질서와 .. 생활 · 문화 2019.04.16
응답하라 1988 ■ 응답하라 1988 (2016.01.16 최종회) 덕선 내레이션 언젠간 가겠지 푸르른 이 청춘 지고 또 피는 꽃잎처럼 달밝은 밤이면 창가에 흐르는 내 젊은 연가가 구슬퍼 가고없는 날들을 잡으려 잡으려 빈손짓에 슬퍼지면 차라리 보내야지 돌아서야지 그렇게 세월은 가는거야 봉황당 골목을 다신 찾.. 생활 · 문화 2016.01.16
세계사 편력 ■ 세계사 편력 (Glimpses of World History) : 자와할랄 네루 (1889.11~1964.5) (인도의 독립 운동가 겸 정치가, 인도 독립 이후 초대 인도 총리) 1930년 10월부터 1933년 9월까지 약 3년 동안 자와할랄 네루가 옥중 생활을 하면서 그의 외동딸 인디라 간디에게 쓴 196회분의 편지를 책으로 묶은 책이다. 단.. 생활 · 문화 2015.03.04
지식의 역사 ■ 지식의 역사 :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든 지식을 찾아 : 찰스 밴 도렌 (영문초판 1991, 한글판 2010.11) -. 출판사 리뷰 ▷ 제1장 고대인의 지혜 이 책을 펼치는 순간 우리는 아주 먼 과거로 돌아간다. 지식은 인류의 역사가 시작됨과 동시에 인간과 그 행보를 함께해왔다. 그중에서도 .. 생활 · 문화 2012.06.05
정의란 무엇인가 (Justice) +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 ■ 정의란 무엇인가 (2010.5) : 마이클 샌델 (Michael J. Sandel 1953) 책 속에서는 다양한 철학자들이 생각하는 '정의'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칸트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존중 받을 가치가 있다"라고 주장하며 인간은 다른 목적을 위해 동원되는 수단이나 도구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아무.. 생활 · 문화 2012.05.09
기본이 혁신이다 (원칙, 약속, 기본) (대림산업 기업광고 - 기본이 혁신이다 편) 남들은 보수적이라 합니다. 원칙을 지키고, 약속을 맨 앞에 두는 것이 보수라면, 대림은 보수적입니다. 남들은 고지식하다고 합니다. 편법을 모르고 정도만을 걷는것이 고지식이라면, 대림은 고지식합니다. 원칙, 약속, 기본 그 안에 혁신의 길이 있습니다. .. 생활 · 문화 2011.04.10
비행 스파게티 괴물 출현? - 지적설계론에 대항 ■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Flying Spaghetti Monster, FSM, Spaghedeity) 미국 캔자스주 교육 위원회가 '지적설계론'(Intelligent Design, 하나님이 우주를 창조하고 현재 모습 대로 동식물을 창조하였다는 이론, 창조과학의 변형)을 '진화론'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 공립학교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결정.. 생활 · 문화 2010.08.04
과학과 종교의 논쟁, 종교전쟁 --- 출판사 리뷰 --- ■ 우주에는 신이 없다 : 데이비드 밀스 (한글 2010.4, 영문 개정판 2006.6) 신은 정말 있을까? 그저 우리의 머릿속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닐까? 출간 즉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킨 아마존 베스트셀러! 데이비드 밀스는 《만들어진 신》의 리처드 도킨스, 《신은 위대하지 .. 생활 · 문화 2010.04.26
고전읽기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국가론 (플라톤) 플라톤(기원전 427~347)은 기원전 427년경 그리스 아테네에서 태어난 철학자이다. 플라톤은 유명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시작된 지 4년째 되는 해에 태어났으며, 전쟁은 기원전 404년에 아테네의 패배로 끝났으므로 전쟁 속에서 태어나 전쟁 속에서 성장하여 .. 생활 · 문화 2010.03.21
철학콘서트 (고전읽기) 1.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든 까닭은? : 소크라테스 『향연』 외 3권 소크라테스, 그는 누구인가?|멜레토스와 오고 간 논변|철학하는 일을 그만두라|자유가 아니면 죽음을!|악법도 법이라고?|죽음으로 영혼을 자유롭게 하리라 2. 이상국가 건설 프로젝트 : 플라톤 『국가』 『국가』의 입구|정의.. 생활 · 문화 2009.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