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레턴우즈 체제 (Bretton Woods System) 국제적인 통화제도 협정으로 2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인 1944년 미국 뉴햄프셔 주의 브레턴우즈에서 44개국의 대표들이 협의하에 탄생되었다. 브레턴우즈 협정(Agreement)으로 국제통화기금(IMF)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세계은행)이 설립되었다. -. 주요 내용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고, 금과 달러를 일정 비율로 교환하는 "금환본위제" 실시. 금 1온스=35$, 조정 가능한 고정환율 제도의 실시. (즉 다른 통화는 달러에 고정시키고, 달러는 금 값에 고정시킴) 특별인출권 (SDR, Special Drawing Rights)의 창출 -. 붕 괴 미국외 국가의 달러 보유량이 미국의 금비축량을 추월, 달러의 태환요구 증가, 달러의 신뢰도 하락. 베트남전쟁 등으로 인한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로 인해 일부 국가들이 금태환을 요구하였고, 결국 닉슨대통령(1971, 닉슨쇼크, $=태환→불환화폐)에 의한 금태환 정지선언으로 체제가 붕괴되고, 킹스턴 체제(Kingston System)로 바뀌었다.
▶ 킹스턴 체제 (Kingston system) : 1976년~현재, 변동환율제, 금의 공정가격 폐지 -. 베트남전쟁으로 인해 재정과 경상수지 적자가 누적되자 71년 닉슨은 금태환제를 중지하고, 1973년 불어 온 1차 석유파동(Oil Shock)과 이후 2차 석유파동으로 인해 세계 경기침체가 장기화 되자 국제통화기금(IMF) 잠정위원회(1976년 1월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고정환율제"를 "변동환율제"로 전환하게 된다. -. 금의 공정가격을 폐지하며 기축통화 대신에 특별인출권(SDR, Special Drawing Rights, 일종의 국제준비통화로 금과 달러를 잇는 제3의 통화)과 같은 합성통화를 기본으로 하기로 했다. -. 특별인출권(SDR)의 가치기준은 세계 무역에서 비중이 큰 5개국(G5: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의 화폐가치를 가중평균하는 방법으로 국제기준대체통화로 사용하기로 했다. -. 특별인출권(SDR)으로 국제거래를 하자고 주장되기도 하나 외국환 시장에서 기준통화는 여전히 달러화다.
▶ 신 브레턴우즈 -. 브레턴우즈 체제가 붕괴에도 아직 기축통화의 역할은 달러가 이제 그 일을 못하니까 새로운 기축통화를 찾자, "기축통화=달러"에서 벗어나자.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가 전 세계로 확산되자 브레턴우즈 체제를 새롭게 개편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
▶ GATT 체제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관세장벽과 수출입 제한을 제거하고, 국제무역과 물자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1947년 제네바에서 미국을 비롯한 23개국이 조인한 국제적인 무역협정.
▷ 우루과이라운드 (Uruguay Round)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의 제8차 다자간 무역협상. 1986년 9월 첫 회합, 1993년 12월 타결, 1995년부터 발효 세계무역기구(WTO)의 설립 합의. GATT체제 밖에 있던 "농산물, 섬유류" 교역을 UR를 통해 GATT체제로 흡수 서비스 등은 GATT 다자간 협상의제에 처음으로 채택
▶ WTO 체제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 1995년, 151개국(2007) GATT체제를 대신하여 세계무역질서를 세우고, UR(우루과이 라운드)협정의 이행을 감시하는 국제기구. (농산물은 UR에서 결정된 사항으로 WTO의 협상 대상이 아님)
▷ EU (유럽 연합, European Union) : 27개국(2007) 1957년 유럽경제공동체가 출범한 이후 단일 유럽법과 마스트리히트조약에 의한 EC(European Community, 유럽공동체)의 새로운 명칭.
▷ NAFTA (북미 자유무역협정,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미국·캐나다·멕시코 3국이 관세와 무역장벽을 폐지하고 자유무역권을 형성한 협정.
▷ OPEC (석유수출국기구,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 12개국(2007) 국제석유자본(석유메이저)에 대한 발언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결성한 조직. 국제석유자본에 대한 발언권 강화, 국제 석유가격 조정 및 회원국간의 협력. 2007년 기준 회원국은 아프리카(알제리·앙골라·나이지리아·리비아), 라틴아메리카(베네수엘라), 중동(이란·이라크·쿠웨이트·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아랍에미리트), 아시아(인도네시아) 12개국이다. 회원국이 임명하는 이사회가 있으며, 본부는 오스트리아 빈에 있다.
▶ FTA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 국가간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모든 무역 장벽을 제거시키는 협정. 특정 국가 간의 상호 무역증진을 위해 물자나 서비스 이동을 자유화시키는 협정으로, 나라와 나라 사이의 제반 무역장벽을 완화하거나 철폐하여 무역자유화를 실현하기 위한 양국간 또는 지역 사이에 체결하는 특혜무역협정이다. 그러나 자유무역협정은 그동안 대개 유럽연합(EU)이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등과 같이 인접국가나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흔히 지역무역협정(RTA)이라고도 부른다.
한국은 1998년 11월 대외경제조정위원회에서 FTA 체결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한국 최초의 "한-칠레 FTA"가 2004년 4월 발효.
▶ IBRD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세계은행) 국제연합(UN) 산하의 국제 금융기관. 국제부흥개발은행의 약칭으로 세계은행(World Bank)이라고도 한다. 1944년 브레턴우즈협정(Bretton Woods Agreement)에 따라 국제연합의 전문기관으로서 제2차 세계대전 후 각국의 전쟁피해 복구와 개발을 위해 1946년에 설립되었다. (가입 184개국, 미국 워싱턴DC)
▶ 엔-캐리 트레이드 (Yen Carry Trade) 투자자가 저금리 국가(일본, 프랑스, 스위스)에서 돈(일본의 엔)을 빌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나라의 주식이나 채권 또는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행위.
▶ 이머징마켓 (Emerging Market) : 자본시장 부문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국가들의 신흥시장. 금융시장, 그 가운데서도 특히 자본시장 부문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시장을 가리키는데, 보통 개발도상국 가운데 상대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높고, 산업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국가의 시장을 말한다. 2002년 현재 신흥 자본시장으로서 이머징마켓으로 분류되는 지역은 동남아시아·동유럽·라틴아메리카·한국·중국 등이다. 특히 중국·말레이시아 등 매년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국가들이 대표적인 이머징마켓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의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는 2002년 7월 15일자에서 "한국·타이완·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들이 이머징마켓을 주도하고 있다"고 보도.
▶ㅇㅇㅇ
[출처 : 백과사전, 지식iN]

Posted by o자세o (pose687)
|